본문 바로가기

♣ 건강/건강관리

퇴계의 활인심빙

퇴계의 활인심방


 “머리는 자주 빗어야 하고,

  손으로는 얼굴을 쓰다듬어야 하며,

  이는 자주 마주쳐야 하고,

  침은 항상 삼켜야 한다."

 그대가 오래 살고자 한다면 반드시 지켜야 할 것들이다.

  

   “봄에는 ‘휴~’ 하면 간을 도와 눈이 밝아지고,

    여름에 ‘훠~’ 하면 심화(心火)가 가라앉으며,

    가을에 ‘스~’ 하면 폐가 윤택하고,

    겨울에 ‘취~’ 하면 신장이 편안하며,

    네 계절 모두 ‘후~~’ 하면 지라에 좋아 소화가 잘된다.”


퇴계 이황은 젊어 너무 공부하다 소화불량에다 몸이 마르는 병에 걸렸다.  병약한 그가 평생 건강 비법으로 삼은 것이 명 태조 주원장의 아들 주권(朱權)이 지은 ‘활인심(活人心)’이다. 아버지를 도와 정치에 관여하다 도사가 된 뒤 의술과 도술을 결합해 쓴 책이다. 퇴계는 이를 직접 필사(筆寫)해 ‘활인심방’이라 이름 붙였다. ‘건강한 사람이 되는 으뜸 건강법’이라는 뜻이다.


▶퇴계가 부인을 두 번 잃고 아들을 앞세우는 불행에도 70세까지 살았던 데는 활인심방이 한몫 했다. 그제 백수(白壽·99세)를 맞은 퇴계의 15대 종손도 장수비결이 활인심방이라 했다. 책에 나온 대로 머리를 자주 빗고 이를 소리 나게 부딪치며 이마와 콧잔등을 자주 문지른다고 했다. 도산서원에선 대학생들에게 활인심방을 가르치는 수련 프로그램도 열렸다.


활인심방은 퇴계 종가(宗家)에 전해오다 1973년 세상에 알려졌다.

  “지나친 맛은 오장을 해친다.

   봄과 여름엔 일찍 일어나라.

   술은 석 잔 넘기면 안 된다.”

    

대자연의 원기를 끌어들이는 도인법(導引法)은 8개 동작을 그림과 함께 설명한다.

“양손으로 허리를 36번 비빈다. 좌우로 한쪽 어깨 돌리기를 36번씩 한다.”   내장 여러 부위를 튼튼하게 하는 동작도 자세히 실려 있다.


▶활인심방이 가장 강조하는 건강법은 마음의 평안이다.

  “병은 마음이 원인되어 생긴다” 했다. 최고 보약 ‘중화탕(中和湯)’의 30가지 재료는 약재가 아니다.

  “본분과 방법을 지켜라, 자연의 도리에 순응하라, 명예는 한계가 있음을 알라, 사물의 기미를 포착하라….”

  기운을 조화롭게 만드는 ‘알약’도 다름 아닌 ‘참을 인(忍)’이다. 활인심방의 진짜 큰 가치는 마음에 대한 이 가르침들에 있을 것이다.



퇴계 선생의 활인심방 (活人心方)


活人心方 서론

聖人은 병들기 전에 다스리고 의원은 병이 난 후에 고치는 것이니

前者를 심치 또는 修養(수양)이라 하고 후자를 藥餌(약이)라 한다. 다스리는 법이 이와 같이 두 가지이나 병의 근원은 하나이니 모두가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마음은 정신의 主가 되고 고요하거나 바쁜 것이 모두 마음에 따르는 것이다″ 하였으니, 마음은 道의 근본도 되고 禍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마음이 고요하면 모든 일에 태연하고 맥박이 활발하나 고요치 못하면 氣血의 흐름이 고르지 못하고 탁하여 百病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성품이 고요하면 情은 평안해지고 마음이 산란하면 정신이 피로하나니 참됨을 지키면 뜻이 만족한다. 여러 가지 복잡하게 추구하면 생각이 복잡하여 정신이 산란하고 정신이 산란하면 氣가 흩어져 병이 들고 죽게 되는 것이다. 이는 평범한 말인 듯 싶으나 道의 깊은뜻에 합치되는 일이다.

《活人心方》은 항상 모든 사람을 구하고 사람의 생활을 건강케 하여 오래 살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 선생은 어려서부터 남달리 책읽기를 좋아하고, 정독하며 뜻과 의미를 깊이 밝히다보니 식사도 잊어가며 학문 연구에만 몰두하여 몸이 아주 쇠약했지만 그당시로는 천수라 할만큼 70세 까지 살았다. 그것은 아마 활인심방을 실천하였기 때문이다.

1. 中和湯(중화탕)

약이라고 하니 몇봉지이고 몇알 인줄 아는데 그런 물질적인 약이 아니고, 만병의 근원인 마음을 잘 다스려 邪氣(사기)를 막아 원기를 회복하여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치료법으로 중화탕(中和湯)은 신선하고 깨끗한 아래의 30가지 약제를 골고루 조제한 후 서서히 달여 수시로 따뜻하게 데워서 들면 정신이 맑아져 의사가 못 고치는 병도 고칠수 있으며 무병장수할수 있다고 한다.

 

※【處方 調劑】

思無邪(사무사):생각을 간사하게 갖지 말 것

行好事(행호사):좋은 일을 행하라

莫欺心(막기심):마음에 속임이 없을 것

行方便(행방편):필요한 방법을 잘 선택할 것

守本分(수본분):자신의 직분에 맞게 할 것

莫嫉妬(막질투):시기하고 샘내지 말 것

除狡詐(제교사):간사하고 교활하지 말 것

務誠實(무성실):성실히 행할 것

順天道(순천도):하늘의 이치에 따를 것

知命限(지명한):타고 난 命의 한계를 알 것


淸 心(청 심):마음을 맑게, 깨끗이 할 것

寡 慾(과 욕):욕심을 줄일 것

忍 耐(인 내):잘참고 견딜 것

柔 順(유 순):부드럽고 온순할 것

謙 和(겸 화):겸손하고 화목할 것

知 足(지 족):주어진 조건에 만족할 줄 알 것

廉 謹(염 근):청렴하고 조심할 것

存 仁(존 인):마음이 항상 어질 것

節 儉(절 검):아끼고 검소하는 마음

處 中(처 중):한쪽에 치우치지 말고 조화할 것

戒 殺(계 살):살생을 경계할 것

戒 怒(계 노):성냄을 경계할 것

戒 暴(계 폭):거칠게 행하지 말 것

戒 貪(계 탐):탐욕을 경계하라

愼 獨(신 독):홀로 있을 때 더욱 삼가라

知 機(지 기):사물의 기틀을 알 것

保 愛(보 애):사랑을 견지하라

恬 退(염 퇴):물러서야 할 때 담담히 물러날 것

守 靜(수 정):고요함을 지닐 것

陰 騭(음 즐):은연중에 덕이나 은혜를 쌓을 것


이렇게 신선하고 깨끗한 30가지 약제를 골고루 조제해서 서서히 달여 수시로 따뜻하게 들면 정신이 맑아져 건강해 진다.


2. 和氣丸(화기환)

중화탕은 요즘 같으면 한방보약으로 몸 깊숙히 파고들어 오랜 시간 복용하므로 치료되는 처방약이고, 화기환은 양약으로 아주 급히 필요할 때 쓰는 약으로 약제는 참을 忍(인)자 이다. 말이 필요없고 입을 꾹다물고 침으로 忍(인)자를 녹여 천천히 씹어 삼키면 즉효가 있어 병을 낳게 하는 특효가 있다.

마음위에 칼이 놓였으니 君子(군자)는 이로써 含容(함용)하여 德(덕)을 이루는 것이다. 분한 것을 참지 못하면 자신의 몸을 병들게 한다는 것이다.

싸움을 하고 싶고, 남의 물건이 탐나고, 나쁜 행동을 하고 싶을 때는 바로 이 화기환을 한알 입안에 넣고 입을 다물고 침으로 녹여 천천히 씹어 삼켜 보십시요. 노하고, 탐하던 마음이 사라지지 않습니까. 내가 잘 참았지, 내가 잘 참았어. 바로 이 참음이 마음과 몸을 상하지 않게 하여 건강을 유지하는데 아주 좋다는 것이다.


3. 병을 없애고 장수하는 비결(去病延壽六字訣)

이 장 에서는 간단한 여섯 글자를 소리 냄으로서 병을 치료하고 오래 살수 있는 건강법을 소개 한다. 일반적으로 대개의 종교나 수도법에 있어서 입으로 소리내는 것이 많이 있다. 주문이라고도 하고 법문이라고도 하며, 기도, 음선(音禪). 찬송 등 이라고도 하나 그 원리는 모두 입으로 소리 냄으로써 기혈순환이 촉진되고 마음이 안정되며 영이 맑아져서 종교나 수도의 목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먼저 총결로서 간(肝), 폐(肺), 심(心), 신(腎), 비(脾), 삼초(三焦)가 각각 약할 때 나타나는 증세를 설명하였으니,


첫째, 간(肝)이 허(虛)하면 눈이 흐려지고

둘째, 폐(肺)가 약해지면 숨쉴 때 두손을 마주 비비는 것 같은 거친 소리가 나고

셋째, 심(心)이 약해지면 기지개를 자주 켜게된다.

넷째, 신(腎)이 약해지면 무릎을 감싸고 웅크려 앉기를 잘하고

다섯째, 비(脾)에 병이 생기면 입이 마르고,

여섯째, 삼초(三焦)에 열이 있으면 누워서 잘 앓게(잔병)된다.


이어서 六字 하나하나에 대한 설명이다.

① 신기(腎氣)

“취-” 하면 신장의 기운을 키운다.

신장의 병은 물 기운으로 인하니 신장은 생문(生門)의 주(主)가 되며 병이 들면 파리해 지고 기색(氣色)이 검어지고 눈썹이 성기고 귀가 울게 된다.

“취-” 하므로서 사기(邪氣)를 내 보내 장수할 수 있다.

② 심기(心氣)

“ 훠-” 하면 심장의 기운을 돕는다,

마음이 산란하거나 초로하면 빠르게 “훠-” 할지니 대단히 신통(神通)한 효험을 볼수 있으며 목이나 입에 염증이 생기며 열이 나고 아픈데에도“훠-”를 하면 좋다.

③ 간기(肝氣)

“허-” 하면 간의 기운을 돕는다.

간은 병이 들면 시거나 쓴 맛을 좋아하는데 눈도 붉어지고 눈물이 많이난다.

그럴 때 “허-”를 해주면 잘 낫는다.

④ 폐기(肺氣)

“스-” 하면 폐의 기운을 돕는다.

폐에 이상이 있어 숨쉴 때 “스스” 소리가 나는 사람은 침이나 가래가 많다.

가슴이 답답하고 번거러움도 상초(上焦)에 가래가 많은 때문이니 “스-” , “스-” 하면 매일매일 좋아진다.

⑤ 비기(脾氣)

“호-” 하면 비의 기운을 돕는다.

비장은 토(土)에 속해 태창(太倉)이라고도 하는데 병이 들면 그 처방이 쉽지 않다. 설사하고 장이 끊고 물을 토하면 “호-” 하여 속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

⑥ 삼초(三焦)

“히-” 하면 삼초(三焦)의 기(氣)를 돕는다.

삼초(三焦)에 이상이 생기면 빨리 “히-” 해주면 좋다. 옛성현의 말씀에 “이것이 가장 좋은 의원이다. 막힘을 통하게 하려할 때 이법을 안쓰고 어디서 다시 구(求)할까” 하셨다.

⑦ 사계절에 부르는 건강노래

봄에는 “휴-” 하면 눈이 밝아지고 肝이 좋아지며 여름에 “하-” 하면 心火가 가라 앉는다. 가을에 “스-” , “스-” 하면 기를 거두어 들이기 때문에 肝기능이 좋아지고 겨울에 “취-” 하면 平安하다. 三焦가 약할 때는 “히-” 하여 헐떡임을 없애고 사계절에 항상 “호-” 하면 脾(지라)의 기능이 좋아 지는데 소리내지 않고 해야한다. 그러면 保身丹보다 더 좋다



오장 튼튼, 양오장법

퇴계 선생은 마치 의사인 양 오장을 건강하게 하는 양오장법(養五臟法)도 설파해 놓았다. 얼른 보면 인도에서 비롯한 요가 동작과 비슷한 것 같지만 많이 다르다.

①심장 : 바르게 앉아 두 주먹을 쥐어 겹치게 하는 동작을 6회 하고 한 손으로 팔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아래를 향해 돌 던지듯이 손을 펼친다. 다음에 두 손을 깍지 끼어 발바닥에 대고 5~6회 눌러준다. 이렇게 하면 가슴속에 쌓인 풍과 나쁜 기운을 제거하며 모든 병을 없애고 막힌 기운을 소통시켜준다. 그 다음 조용히 눈을 감고 앉아 침을 세 번 삼키고 세 번 이를 마주친다.

퇴계 선생이 활인심방에 직접 그려 넣었다는 도인법 8가지 동작.  귀 뒤쪽 튕겨주기에서 발 잡아당기기까지 사실적으로 묘사돼 있다.
퇴계 선생이 활인심방에 직접 그려 넣었다는 도인법 8가지 동작. 귀 뒤쪽 튕겨주기에서 발 잡아당기기까지 사실적으로 묘사돼 있다.

②간장 : 바르게 앉아서 두 손으로 허벅지에서 무릎, 종아리, 발끝까지 서너 차례 왕복하며 주무른다. 다음은 두 손을 깍지끼어 가슴에 대고 위를 쳐다보면서 3~5회 치켜 올리면 간에 쌓인 풍이나 나쁜 기운을 없애주고 독기를 몰아낸다.

③비장 : 한쪽 다리는 앞으로 뻗치고 한쪽은 굽혀서 깔고 앉은 다음 양손을 뒤로 하여 잡은 뒤 잡아당기기를 3~5회 한다. 다음은 무릎을 바닥에 대고 엎드린 뒤 양팔굽도 대어 동물이 엎드린 자세를 취한 뒤 좌우 교대로 뒤돌아보기를 3~5회 하면 비장에 쌓인 풍이나 나쁜 기운을 없애주며 입맛이 좋아진다.

④폐 : 무릎을 꿇고 엎드려 머리를 바짝 숙인 다음 고개를 서서히 들면서 허리를 서서히 치켜들면 폐부에 쌓인 풍과 나쁜 기운이 제거되고 튼튼해진다. 다음은 두 주먹을 쥐고 손등으로 반대쪽의 등줄기를 두드려주기를 좌우 각 3~5회 하면 가슴속의 풍과 나쁜 기운을 제거하고 독을 풀어준다. 그런 후에 눈을 감고서 이를 3회 마주친 뒤 침을 삼킨다.

⑤신장 : 바르게 앉아 두 손을 귀에 대고 쓰다듬어 내릴 때 팔꿈치를 옆구리에 닿게 하기를 3~5회 하고 양손을 들어 좌우로 각각 뻗쳐 몸을 늘리고 일어서서 발을 앞뒤 좌우로 수십번씩 흔들면 신장과 방광에 쌓인 풍과 나쁜 기운을 없애준다.

퇴계의 보양음식 8선

오장을 튼튼하게 하는 건강법에 이어 건전한 정신을 갖게 하는 ‘보양정신(保養精神)’에 대해 설파한 퇴계 선생은 몸을 보하는 건강음식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해놓았다. 보양음식(保養飮食)편이 바로 그것이다.

①백탕(栢湯) : ‘栢’(잣나무, 측백)은 맛이 쓰고 따스한 성질이 있다. 코에 피가 날 때, 이질, 하혈 등의 증세에 꾸준히 먹으면 효과가 있으며 몸이 가벼워지고 추위나 더위, 허기를 이기게 해준다. 봄철 새로 나온 잎을 따서 실에 꿰어 큰 독 속에 매달고 종이로 밀봉해 한 달 정도 지나서 열어보아 바싹 말라 있으면 가루로 만들어 단지에 잘 보관하면서 늦은 밤에 차 대신 달여 먹는다. 보관할 때 바람이 들어가면 누렇게 변하니 조심해야 한다. 차는 많이 마시면 정기를 소모하고 위를 상하게 하나 백탕은 그렇지 않으며 너무 써서 먹기 거북할 때 마를 섞어 먹으면 부드럽다.

②서여주(薯킦酒) : 서여(薯킦)는 산에서 나는 약으로 일명 산우(山芋), 즉 마다. 맛이 달고 독성이 없으며 피로하고 수척할 때 좋으며 오장의 열을 없애 음을 보해준다. 오래 복용하면 귀와 눈이 밝아지고 몸이 가벼워지고 허기를 몰라 장수하게 된다. 산에서 캐온 것을 10여 일 말려서 껍질을 벗기고 푹 삶은 것 1근과 우유 세 냥을 잘 섞어서 반죽해 달걀만한 덩어리를 만들어 술 반 되에 1덩이꼴로 저장한다. 서여는 산에서 난 것이 좋으며 옛날 의서에는 개고기탕보다 몸에 더 좋다고 하였다.

③지황주(地黃酒) : 지황은 맛이 달고 서늘하며 쌉쌀하고 독이 없어 오래 먹으면 목이 가볍고 늙지 않는다. 오장을 보해주고 혈액순환을 돕는다. 따라서 기를 돋우고 귀와 눈이 밝아진다. 쌀 한 말에 생지황 3근을 넣어 찐 뒤 누룩에 띄워 술을 담가 먹으면 혈색이 좋아지고 얼굴빛이 밝아진다.

④무술주(戊戌酒) : 찹쌀 3말을 개 한 마리와 함께 넣어 푹 쪄서 찧은 뒤 반죽을 만들어 누룩에 띄운다. 잘 익은 무술주를 빈속에 한 잔씩 마시면 원기를 키우며 노인에게 더욱 좋다. 본래 술은 혈액순환을 좋게 하지만 석 잔 이상을 마시면 오장을 상하게 하고 성품을 난폭하게 만들어 광증이 나타나게 되니 더욱 조심해야 한다.

⑤유죽(乳粥) : 우유는 맛이 달콤하고 독성이 없다. 날것은 조금 차며 허한 것을 채워주고 갈증을 풀어준다. 또 피부를 윤택하게 해주고 심장과 폐를 튼튼하게 해주며 열을 내리고 풍을 없다. 누런 소의 우유를 쓰는 것이 좋으며 물소의 우유는 좋지 않다. 죽을 끓일 때 먼저 물을 붓고 끓이다가 밥물을 떠내고 대신 우유를 넣으면 좋다.

⑥녹각죽(鹿角粥) : 녹각은 맛이 달고 독성이 없다. 녹각을 먹으면 마비가 없어지고 기력을 돋우며 뼛골을 보하고 음기를 돋운다. 새로 따온 녹각을 한 치씩 잘라서 흐르는 물에 3일간 두었다가 잘 씻은 다음 물을 넉넉히 넣은 단지에 넣고 뽕나무 잎으로 잘 막아 기가 새지 않게 하여 강한 불로 달이는데 졸아들면 더운 물을 부어가며 하루 종일 달여서 바짝 졸인다. 다음에 녹각을 추려내어 다시 감자를 삶듯 은은한 불에 김이 새지 않게 하여 잘 익힌 다음 꺼내서 말려 가루를 만든다. 나머지 국물은 깨끗한 무명천에 밭여 걸러낸 뒤 식히면 묵같이 되는데 이를 녹각교라 한다. 이렇게 만든 것을 죽 한 대접에 녹각분과 소금을 넣어 따뜻한 채로 마시면 정혈을 돋우고 원기를 키워준다.

⑦산서죽(山薯粥) : 산서(마)는 산에서 캔 것이 좋고 집에서 키운 것은 맛이 못하다. 껍질을 벗겨 곱게 찧어서 죽 한 그릇에 두 홉을 넣고 꿀 두 숟갈을 넣어 잘 섞는다. 그 다음 죽 한 사발에 넣어 잘 끓여서 먹는다.

⑧산서면(山薯麵) : 마를 캐어 껍질을 벗겨 얇게 썰어 말린 뒤 곱게 빻아 체로 걸러서 국수를 만들어 우유와 꿀을 섞어 먹으면 정력을 충실케 해준다.





'♣ 건강 >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발 걷기의 좋은점과 주의사항  (0) 2017.06.03
감자의 효능  (0) 2017.04.15
중요한 췌장을 살리자.  (0) 2017.01.24
장수비결  (0) 2017.01.03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반드시 읽어보세요  (0) 2016.12.17